총 1건
-
- 산업연구원 (KIET)
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& TRADE
-
테이블 제목
제목 |
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|
본문요약 |
- 제2차 세계화, 금융위기 이후 종료된 것으로 판단
* 반세기 이상 지속된 세계교역/GDP 비율 상승세, 세계 금융위기 이후 소멸
* 최근 미국의 新워싱턴 컨센서스, 세계화 종료를 사실상 공식화
- 세계교역 둔화로 한국의 수출주도형 성장도 종료
* 2010년대 이후 수출증가율 크게 하락 (1990~2007년 13.2% → 최근 10년 2.4%)
* 최근 10년간 수출증가율, 경제성장률을 하회
- 미중 갈등 심화로 향후 교역환경 더욱 악화 가능성
* 세계경제 디커플링 시 세계 GDP 최대 6% 하락 추정 (IMF)
* 미중과 교역 비중 크고 중간재 수출 비중 높은 한국은 특히 큰 충격
* 향후 수년~10여년이 세계화 종료 이후 교역환경 결정에 중요한 기간
- 교역환경 악화를 막기 위한 국제 공조 노력 필요
* 세계경제 디커플링이 한국의 이해관계에 부합되지 않음을 천명
*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국가들과 더불어 개방적, 비차별적 교역환경 추구
- 민간소비와 수출이 동반 견인하는 성장체제로 전환
* 수출의 성장기여 하락을 민간소비 활성화로 보전
|
내용 문의 |
강두용 선임연구위원(044-287-3205) |
엠바고 |
본 자료는 5월 26일(금)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.
<인터넷, 방송, 통신은 5월 25일 (목)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*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끝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