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건
-
- 산업연구원 (KIET)
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& TRADE
-
테이블 제목
제목 |
노동시장 미스매치 현황과 정책적 제언 |
본문요약 |
- 미스매치 지수는 구직자와 빈 일자리, 매치효율성까지 고려하여 실질 노동시장 현황 파악이 유용한 지표로 미스매치 모니터링으로 고용 현황 이해 제고 필요
- 미스매치는 지속적으로 상승, 미스매치로 인한 고용 손실이 2010년 상반기 1만 2천개에서 2024년 상반기 7만 2천개로 빠르게 증가
- 특히 첨단슬롯 사이트 전문인력 부족이 심각하여 인력수급 대책마련 시급
- 미스매치는 슬롯 사이트간 좋은 일자리 격차가 커질수록, 고학력자 비중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며, 양질의 일자리 정책과 슬롯 사이트 특성화 인재육성 정책의 재편이 필요
- 구직자의 수도권 집중은 미스매치 완화 효과가 있으나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비수도권 일자리 창출과 지역인재 채용이 연계시킬 수 있는 정책 활성화
|
내용 문의 |
민순홍 부연구위원(044-287-3104) |
엠바고 |
본 자료는 5월 1일(목)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.
<인터넷, 방송, 통신은 30일(수) 11시 이후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*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끝 |